https://padlet.com/yerim999/tgf0wzcq63foh5vc/wish/2232934744
Day7
----------DNS----------<윈도우에서 ip 수동으로 설정>설정 - 네트워크 및 인터넷 - 이더넷 - 어댑터 옵션 변경- Ethernet(LAN) - 속성 - tcp/ip 속성에서 변경<컴퓨터가 ip주소를 알아내는 순서> - Name Resolution Se
padlet.com
---------Linux Editor----------
- 모드형 편집기 : vi
1. 명령어 모드 : 복사, 삭제, 붙여넣기
2. 입력 모드 : i,o
3. 실행 모드 : esc, :
입력 모드에서 esc 입력 시 실행 모드
명령 모드에서 : 입력 시 실행 모드
2. 입력 모드 : i,o
3. 실행 모드 : esc, :
입력 모드에서 esc 입력 시 실행 모드
명령 모드에서 : 입력 시 실행 모드
i - 현재 커서 입력
o - 아랫줄 입력
O - 윗줄 입력
yy - 복사
3yy - 3줄 복사
p - 붙여넣기
dd - 한 줄 삭제
x -한 글자 삭제
D - 현재 커서부터 마지막 커서까지 삭제
:w - 저장하기
:w "파일이름" - saveas 다른이름으로 저장
:q - 수정 적용 후 빠져나오기
:q! - 수정 적용하지 않고 빠져나오기
:wq - 저장하고 나오기
$ - 가장 마지막 커서로 이동
:$ - 가장 마지막 라인으로 이동
:숫자 - 해당 라인으로 이동
u - 이전 작업 취소
:e! - 저장 이후 작업 전부 취소
수정? 마지막 커서로 간다($) -> /이나 ? 입력 -> n으로 찾기
:r "파일" - 읽어오기(불러오기)
- 비모드형 편집기 : gedit
---------yum----------
yum?? Yellowdog Updator Modified
- yum list installed : 설치된 "패키지" 확인
+) systemctl list-unit-files : 설치된 "서비스" 확인
- yum list update : 업데이트 가능한 패키지 확인
- yum update : 몽땅 업데이트!
- yum info "패키지명" : 패키지 정보 확인
- yum search "이름대충" : 비슷한 이름의 패키지 찾기
- yum provides "파일" : 파일이 어느 패키지에 속하는지 찾기
원하는 패키지가 없을 때?
--> Internet에서 repository 다운 받아서 설치
Archive
: 여러 파일을 묶고 + 압축까지 가능
: 이메일 서버에서 사용
- tar (tape archive) : 압축 (지금의 zip파일)
- du -sh /lab/ :디렉토리 용량 확인
archive 하기
- tar cvf /mnt/lab.tar /lab/ : /lab/을 archive하여 /mnt/에 lab.tar라는 이름으로 저장(c : create, v : 화면에 상세히 출력, f : archive파일 사용)
- scp lab.tar centos2:/root/ :centos2의 /root/로 파일 전송
- tar xvf lab.tar : archive풀기
archive 하면서 압축하기
- tar cvzf labzip.tar.gz /lab/
- scp labzip.tar.gz centos2:/root/
- tar xvzf labzip.tar.gz
--------File System--------
Windows : FAT, FAT32, NTFS, ReFS
Linux : ext3, ext4, xfs, zfx ...
Vmware (회사) => vmfs
- fdisk -l | grep /dev : 연결 확인
- fdisk /dev/sdb : 하드디스크 연결
- mkfs -t ext4 /dev/sdb1 : 포맷
(n : 파티션 생성 > 숫자 입력(몇개로 파티션 할 건지), w: write & exit)
- mount -t ext4 /dev/sdb1 /mnt : 하드디스크에 연결하여 사용
- vi /etc/fstab : reboot 해도 mount 유지
- umount /mnt : 마운트 해제
** 마운트 : 하드웨어 장치를 액세스 하기 위해서는 특정한 위치에 연결해 주는 작업
방법 : mount -t <파일 시스템 타입> <장치 파일> <마운트 포인트>
** /etc/fstab 파일 옵션 보충 설명
방법 : mount -t <파일 시스템 타입> <장치 파일> <마운트 포인트>
** /etc/fstab 파일 옵션 보충 설명
/dev/hda1 / ext3 defaults 1 1
디바이스명 마운트디렉토리 파일시스템 옵션 덤프 fsck
디바이스명 마운트디렉토리 파일시스템 옵션 덤프 fsck
(덤프 : 1의 값은 리눅스 파일 시스템일 때 사용하고 그 외의 경우 0을 사용한다.
fsck : 파일 점검 명령어로 부팅 시 점검하면 1, 하지 않으면 0을 사용한다.)
fsck : 파일 점검 명령어로 부팅 시 점검하면 1, 하지 않으면 0을 사용한다.)
---------Permission---------
사용자는 [기본 그룹]과 [보충 그룹]에 속할 수 있다.
그룹 = 여러 사용자를 하나로 묶은 것
그룹에 권한을 주면 여러 사용자에 적용이 됨
사용자는 [기본 그룹]과 [보충 그룹]에 속할 수 있다.
그룹 = 여러 사용자를 하나로 묶은 것
그룹에 권한을 주면 여러 사용자에 적용이 됨
- groups suser : 속한 그룹 확인
- id suser : 1,2차 그룹 자세히 (1차 그룹 : 파일 소유 그룹. 2차 그룹 : 파일 접속 그룹
- useradd "유저" : 자신의 group에 속함
- useradd -N "유저" : N 옵션 사용 시 기본 group에 속함
- groupadd "그룹"
- gpasswd "그룹"
- usermod : 사용자 수정. 그룹 변경
- usermod -g salesgroup suser1 : 1차 그룹 변경
- usermod -aG salesgroup suser1 (add, G:2차 그룹)
여러 그룹을 하나로 합칠 때 : 방법 없음..! 사용자 다 넣어야 함
- groupadd pubgroup
- gpasswd pubgroup
- usermod -aG pubgroup suser1
- chmod 640 /public/public.txt
소유자(root)만 rw가능, 나머지 그룹은 아무 권한 없음
- chgrp -R pubgroup /public : 소유 그룹 변경(R : 하위까지)
+) 관리자 권한을 가진 유저
- sudo -i : root 비밀번호 없이 root로 변경
'Study > Cloud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라우터 이해하기2 (0) | 2022.07.05 |
---|---|
라우터 이해하기 (0) | 2022.07.04 |
FTP서버 운영 (0) | 2022.07.04 |
NFS, Samba 운영-2 (0) | 2022.07.04 |
NFS, Samba 운영-1 (0) | 2022.07.04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