• 라우터
- 3계층(네트워크 계층) 장비
- 서로 다른 Network 연결
- 특정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수신한 packet의 목적지 IP주소를 보고 목적지와 연결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packet 전송(라우팅)
- 역할 : 경로결정, 스위칭
- 라우팅 프로토콜에 따라 라우팅 테이블 작성
(show ip route - 라우팅 테이블 확인)
- ping 날렸을 때. 라우팅 테이블에 없으면 기본 게이트웨이(default gateway, 0.0.0.0)으로 보낸다. 

  • Switch와 Router의 차이점
스위치 : MAC Address Table O. 목적지를 모르는 frame을 flooding(브로드캐스팅)
라우터 : Routing Table O. 목적지를 모르는 packet은 폐기

  • 라우터 Interface 종류
1) LAN 구간 → Ethernet(Fast Ethernet) Interface
2) WAN 구간 → Serial Interface
3) 관리용 Interface → Console Port, ..

  • 라우터 접속 방법
1) 라우터의 consol 포트에 console cable 연결, 나머지 한쪽은 컴퓨터의 serial 포트(COM1 포트)에 연결 → 직접 연결, 케이블 필요하다는 단점
2) Telnet, SSH

- 종류
1) Static 라우팅 프로토콜
2) Dynamic 라우팅 프로토콜(RIP, OSPF 등)

  • NAT (Network Address Translation, 네트워크 주소 변환) 
: 내부 네트워크에서는 사설 IP를 사용하고, 외부 네트워크(Internet)으로 나가는 경우 공인 IP 주소로 변환돼서 나가게 하는 기술
1) 공인 IP주소 부족 해결
2) 보안(내부 사설 IP주소를 숨길 수 있음)

+) 사설 IP 주소
- Class A : 10.0.0.0 ~ 10.255.255.255 
- Class B : 172.16.0.0 ~ 172.31.255.255 
- Class C : 192.168.0.0 ~ 192.168.255.255 

- NAT 장비 안에 VPN 기능을 넣으면 NAT 라우터끼리 통신할 수 있음

---라우터에 NAT 기능 추가 = 공유기---

공유기의 NAT 기능(내부 → 외부)
외부 → 내부 로 설정하기 위해선?

1) Port Forwarding
:
외부 포트를 개방하여 통로를 만드는 것
보통, 외부 포트와 내부 PC 포트 번호를 동일하게 설정
단점 :  1개의 장치/컴퓨터에 1개의 포트만 매핑 가능(1:1)

2) DMZ
: 외부에서 접근하는 어떤 포트라도 1개의 특정 사설IP/ 내부IP로 매핑
--> 보안에 매우 취약

 


------라우터에 VPN 기능 추가------

 

포트 포워딩 시 포트스캐닝을 통한 해킹이 가능하기 때문에 VPN을 설정하면 효과적임

1) 직접 연결 
2) 이동형 VPN 장치
3) VPN 클라이언트 설치

1) 인증
2) 정책(누가, 언제 접속 가능한지 등)


  • DHCP 
- 부팅 시 자동으로 IP address 할당(동적 IP 할당)
- 라우터가 이 기능을 가지고 있으면 사용자가 편리함
(스마트폰에서 Wi-fi 연결 시 IP 설정하지 않아도 DHCP 기능을 가진 공유기가 자동으로 IP 할당해줘서 사용가능한 것임!)

'Study > Cloud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Docker Image Layer  (0) 2022.07.18
라우터 이해하기3  (0) 2022.07.06
라우터 이해하기  (0) 2022.07.04
vi, yum, file system, permission 이해  (0) 2022.07.04
FTP서버 운영  (0) 2022.07.04

+ Recent posts